728x90
반응형
※ SK 쉴더스 루키즈 24기 (클라우드기반 스마트 융합보안 과정) 교육을 들으면서 작성한 내용입니다.
네트워크 통신에서 데이터를 전달하는 방식은 크게 유니캐스트, 브로드캐스트, 멀티캐스트로 나뉜다.
각 방식은 송신자와 수신자 간의 관계와 데이터를 전달하는 방법에 따라 다르다.
1️⃣ 유니캐스트(Unicast) - 1:1통신
유니캐스트는 한 송신자가 단일 수신자에게 데이터를 전달하는 전송 방식이다.
일반적으로 우리가 사용하는 대부분의 인터넷 통신(예: 웹 브라우징, 이메일, 파일 다운로드 등)이 유니캐스트 방식으로 이루어진다.
🔹1. 유니캐스트 데이터 전송의 구조
유니캐스트는 OSI 7계층 모델 중 2계층(L2), 3계층(L3), 4계층(L4)의 정보를 사용하여 데이터를 전송한다.
- L2 (데이터 링크 계층): 송신 MAC 주소 + 수신 MAC 주소
- L3 (네트워크 계층): 송신 IP 주소 + 수신 IP 주소
- L4 (전송 계층): 송신 Port 번호 + 수신 Port 번호
- 전송 데이터 : 실제 송신하려는 데이터
🔹2. 유니캐스트 통신 예시: 웹 브라우저
- 사용자가 웹 브라우저를 실행하고 특정 웹사이트를 열면 운영체제가 송신 포트 번호를 자동으로 할당한다.
- 웹 사이트가 HTTPS(보안 프로토콜)로 동작한다면, 수신 포트 번호는 443(HTTPS)로 설정된다.
- 운영체제는 웹 사이트의 문자주소(FQDN)를 DNS를 통해 IP주소로 변환하고, ARP를 통해 해당 IP 주소에 대응하는 MAC 주소를 찾는다.
2️⃣ 브로드캐스트(Broadcast) - 1:m 통신
브로드캐스트는 한 송신자가 네트워크 내 모든 장치(불특정 다수)에게 데이터를 전송하는 방식이다.
이 방식은 주로 네트워크 초기 설정 또는 특정 정보를 모든 장치에 알릴 때 사용된다.
🔹1. 브로드캐스트 주소의 특징
브로드캐스트 주소는 특정 네트워크 범위 내 모든 장치를 대상으로 데이터를 전달하기 위해 사용되는 가상주소이다.
브로드캐스트 IP 및 MAC 주소
- 브로드캐스트 IP 주소 (BIP, Broadcast IP): ``255.255.255.255``
- 리미티드 브로드캐스트(Limited Broadcast): 동일 네트워크 안에 있는 모든 장치에게 데이터를 전송
- 다이렉티드 브로드캐스트(Directed Broadcast): 특정 네트워크 내의 모든 장치에게 데이터를 전송
- ex. ``192.168.1.255/24``
- 브로드캐스트 MAC 주소 (BMAC, Broadcast MAC): ``FF:FF:FF:FF:FF:FF``
- 브로드캐스트 패킷이 네트워크 내 모든 장치로 전송되도록 함
🔹2. 브로드캐스트의 활용: DHCP
브로드캐스트는 특히 DHCP(Dynamic Host Configuration Protocol)에서 중요한 역할을 한다.
- DHCP 클라이언트(ex. 새로 연결된 장치)가 네트워크에 접속하면, IP 주소를 요청하기 위해 브로드캐스트 패킷을 전송
- DHCP 서버는 이 요청을 받아 적절한 IP 주소를 할당
- 이 과정에서 포트 번호: 송신포트 ``68`` (DHCP클라이언트), 수신포트 ``67`` (DHCP 서버)
3️⃣ 멀티캐스트(Multicast) - 1:n 통신
멀티캐스트는 한 송신자가 특정 그룹의 수신자(특정 다수)에게 데이터를 전송하는 방식이다.
브로드캐스트와는 달리, 멀티캐스트는 데이터를 필요한 장치에게만 전송하여 네트워크 대역폭을 효율적으로 사용할 수 있다.
🔹1. 멀티캐스트 주소의 특징
브로드캐스트 IP 및 MAC 주소
- 멀티캐스트 IP 주소 (MIP, Multicast IP): ``224.0.0.0`` ~ ``239.255.255.255``
- ex. ``244.0.0.1``은 모든 멀티캐스트 지원 장치를 대상으로 함
- 멀티캐스트 MAC 주소 (MMAC, Multicast MAC): ``01:00:5E:XX:XX:XX``
- ``XX:XX:XX`` = IP주소의 하위 23비트를 16진수로 변환한 값
🔹2. 멀티캐스트의 활용
- 멀티캐스트는 주로 실시간 스트리밍, IPTV, 원격 회의 시스템 등에서 사용됨
- 예를 들어, IPTV 서버가 특정 채널의 데이터를 멀티캐스트 그룹으로 전송하면, 이 그룹에 가입한 사용자만 데이터를 수신할 수 있음
728x90
반응형
'⛓️ Network Security > 기본 개념' 카테고리의 다른 글
캡슐화 역캡슐화 (0) | 2025.02.03 |
---|---|
시스코 패킷 트레이서 설치 및 사용하기 (Cisco Packet Tracer) (0) | 2025.01.24 |
네트워크 통신의 기본 시나리오와 논리적 주소, 물리적 주소 (0) | 2025.01.23 |
TCP 프로토콜과 UDP 프로토콜의 특징 비교 (1) | 2024.06.04 |
HDLC 프로토콜과 프레임 유형 이해하기 (0) | 2024.06.04 |