1. 라우팅의 개념
ⓐ 네트워크 계층(3계층)의 주요 핵심 기능
네트워크 계층은 전송 데이터들을 목적지까지 올바르게 전달하는 경로를 선택하는 기능을 담당한다. 이는 '라우팅'이라 불리며, 데이터 패킷을 정확히 전달하기 위해 필수적인 과정이다.
(+) 네트워크 계층의 핵심 기능
- 두 노드 간 패킷 데이터를 전송하는 역할(IP 프로토콜)을 한다.
- 전달 경로를 선택하고, 네트워크 혼잡을 제어하는 기능을 한다.
ⓑ 라우팅 정의
라우팅이란 송수신 호스트 사이의 패킷 전달 경로를 선택하는 과정을 의미한다.
ⓒ 라우팅 테이블
라우팅 테이블은 네트워크 연결 구성 형태에 관한 정보를 관리한다. 이는 네트워크 관리자가 주로 관리한다.
ⓓ 라우팅 프로토콜
라우팅 프로토콜은 인터넷 상의 라우터들이 서로 변화를 알릴 수 있도록 하는 규칙과 절차의 조합이다.
2. 라우팅 프로토콜
ⓐ 동적 라우팅 테이블
동적인 라우팅 테이블의 요구를 충족하기 위해 라우팅 프로토콜이 만들어졌다.
ⓑ 정보 수신 절차
다른 라우터로부터 수신한 정보를 조합하는 절차도 라우팅 프로토콜에 포함된다.
ⓒ 내부 프로토콜과 외부 프로토콜
- 내부 프로토콜: 도메인 내 라우팅을 다룬다.
- 외부 프로토콜: 도메인 간 라우팅을 다룬다.
3. 대표적인 라우팅 프로토콜 ‘RIP’
ⓐ RIP(Routing Information Protocol)
RIP는 경로 정보 프로토콜로, 자율 시스템 내부에서 사용되는 도메인 내 라우팅 프로토콜이다.
ⓑ 간단한 구현 방식
거리 벡터 방식의 내부 라우팅 프로토콜 중 가장 간단하게 구현된 프로토콜이다.
- 거리 벡터 라우팅 프로토콜: 라우터가 자신과 연결된 이웃 라우터와 거리 정보를 교환하는 방식이다.
- 필수 정보: 링크 벡터, 거리 벡터, 다음 홉 벡터를 관리한다.
ⓓ 소규모 네트워크 환경에 적합
RIP는 소규모 네트워크 환경에 적합하며, 현재 가장 많이 사용되는 라우팅 프로토콜 중 하나이다.
ⓔ 라우팅 정보 업데이트
라우터 간 주기적으로 라우팅 정보 업데이트 패킷을 전송하지만, 이로 인해 불필요한 네트워크 자원을 소모하는 단점이 있다.
ⓕ 라우팅 테이블 업데이트 적용
- 새로운 거리 벡터 정보가 들어오면 라우팅 테이블에 적용한다.
- 기존 정보와 비교하여 목적지까지의 지연이 더 적으면 대체한다.
- 임의의 다른 라우터로부터 거리 벡터 정보가 들어왔을 때, 새로운 정보로 수정한다.
'⛓️ Network Security > 기본 개념' 카테고리의 다른 글
네트워크 전송모드 (유니캐스트, 브로드캐스트, 멀티캐스트의 이해) (0) | 2025.01.23 |
---|---|
네트워크 통신의 기본 시나리오와 논리적 주소, 물리적 주소 (0) | 2025.01.23 |
TCP 프로토콜과 UDP 프로토콜의 특징 비교 (1) | 2024.06.04 |
HDLC 프로토콜과 프레임 유형 이해하기 (0) | 2024.06.04 |
OSI 7계층 이해하기 (1) | 2024.06.03 |