728x90
반응형
1 계층: 물리계층(Physical Layer)
전송 매체의 물리적 인터페이스에 관한 사항을 기술
데이터 전송 속도, 송수신 호스트 사이의 클록(시간) 동기화 방법, 물리적 연결 형태 등
2 계층: 데이터 링크 계층(Data Link Layer)
데이터의 물리적 전송 오류를 해결
전송 데이터의 명칭: 프레임
3 계층: 네트워크 계층(Network Layer)
송신 호스트가 전송한 데이터가 어떤 경로를 통해 수신 호스트에게 전달되는지를 결정하는 라우팅 문제를 처리
호스트 구분을 위한 주소 개념 필요 (ex. IP 주소)
전송 데이터의 명칭: 패킷
혼잡 제어: 데이터 전송 경로의 선택에 따라 네트워크 혼잡에 영향을 미침
4 계층: 전송 계층(Transport Layer)
송신 프로세스와 수신 프로세스를 직접 연결하는 단대단(End-to-End) 통신 기능 제공
5 계층: 세션 계층(Session Layer)
송수신 호스트 사이의 대화 제어를 비롯 상호 배타적인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토큰 제어, 일시적인 전송 장애를 해결하기 위한 동기(Synchronization) 기능 등 제공
6 계층: 표현 계층(Presentation Layer)
데이터의 의미와 표현 방법을 처리, 데이터를 코딩(Coding)하는 문제를 다룸
7 계층: 응용 계층(Application Layer)
최상위, 다양하게 존재하는 응용 환경에서 공통으로 필요한 기능을 다룸
대표적인 인터넷 서비스: FTP, Telnet, 전자메일
728x90
반응형
'⛓️ 네트워크 보안 > 기본 개념' 카테고리의 다른 글
네트워크 전송모드 (유니캐스트, 브로드캐스트, 멀티캐스트의 이해) (0) | 2025.01.23 |
---|---|
네트워크 통신의 기본 시나리오와 논리적 주소, 물리적 주소 (0) | 2025.01.23 |
TCP 프로토콜과 UDP 프로토콜의 특징 비교 (1) | 2024.06.04 |
HDLC 프로토콜과 프레임 유형 이해하기 (0) | 2024.06.04 |
네트워크 라우팅 개념과 라우팅 프로토콜의 이해 (0) | 2024.06.03 |